본문 바로가기

개발 공부/CS6

인터넷 서문 이 포스팅은 생활코딩의 WEB > 웹 애플리케이션 만들기 > 인터넷 파트의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. IP 주소(Internet Protocol Address) 인터넷이란 뭘까? 나에겐 인터넷은 다른 하나의 세계이다. 인터넷(영어: Internet, 문화어: 인터네트)은 컴퓨터로 연결하여 TCP/IP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/Internet Protocol)라는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해 정보를 주고받는 컴퓨터 네트워크이다. 라는 기술적 정의도 있지만 결국에 사람들이 컴퓨터를 통해 가상 공간에 만나서 여러 상호작용을 하는 우리가 사는 현실의 모습과 비슷하며 또 완전히 다른 속성을 가지고 있다. 그래서 다른 하나의 세계라고 생각한다. 세계에서 사람들이 정상적으로 살아가기 위해서.. 2021. 8. 18.
Internet protocol suite (TCP/IP updated) Layer 1: Physical Layer 물리 계층(Physical layer)은 네트워크의 기본 네트워크 하드웨어 전송 기술을 이룬다. 좀 더 쉽게 말하자면 물리적으로 연결된 두 대의 컴퓨터가 0과 1의 나열(정보의 표현)을 주고 받을 수 있게 해주는 하드웨어(PHY칩)로 구현된 모듈이다. encoding(송신할 때): 0과 1의 나열을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어 전선으로 흘려보낸다. decoding(수신할 때): 아날로그 신호가 들어오면 0과 1의 나열(디지털 신호)로 해석한다. Layer 2: Data Link Layer 데이터 링크 계층(Data link layer)은 포인트 투 포인트(Point to Point) 간 신뢰성있는 전송을 보장하기 위한 계층이다. 좀 더 쉽게 말하자면 같은 네트워크에 .. 2021. 7. 21.
Heroku VS AWS EC2 뭐가 다른 걸까? 클라우드 컴퓨팅 Heroku와 AWS를 통틀어 클라우드 컴퓨팅이라고 한다. 클라우드 컴퓨팅(영어: cloud computing)은 사용자의 직접적인 활발한 관리 없이 특히, 데이터 스토리지(클라우드 스토리지)와 컴퓨팅 파워와 같은 컴퓨터 시스템 리소스를 필요시 바로 제공(on-demand availability)하는 것을 말한다. 다만 이 둘은 애플리케이션 배포하는 방식에 큰 차이가 있다. 이 포스팅은 이 둘의 차이를 정리한 글이다. Heroku - PaaS PaaS 서비스형 플랫폼(Platform as a Service, PaaS)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분류 중 하나다. 일반적으로 앱을 개발하거나 구현할 때, 관련 인프라를 만들고 유지보수하는 복잡함 없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, 실행, 관리할 수 있게.. 2021. 7. 19.
Nginx 서문 이전의 웹 토이 프로젝트들을 배포할 때는 AWS의 EB서비스를 이용했다. EB의 장점은 간단하다는 것이다. 내가 만든 프로젝트 그대로 zip파일로 만들어서 EB applicatioin에 올리면 알아서 해준다. 하지만 AWS EB의 경우 서버 환경을 내가 제어할 수 없기에 내가 만든 애플리케이션에 최적의 배포 환경을 제공할 수가 없다. 그래서 백엔드 개발자로서 서버에 대한 깊은 공부를 위해 먼저 Nginx에 대해 알아보았다. 웹 서버 Nginx는 웹 서버 중 하나이다. 웹 서버란 웹 브라우저와 같은 클라이언트로부터 HTTP 요청을 받아들이고, HTML 문서와 같은 웹 페이지를 반환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. (물론 이를 담당하는 컴퓨터를 말하기도 한다.) 여기서 한가지 집고 넘어갈 것이 있는데 Djan.. 2021. 7. 3.